A/S팀이 말해주는 셀프 수리
배터리 충전기 충전이 되지 않을 때 점검 사항과 점검 방법
배터리 충전기는 주로 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공구다. 여러 가지 브랜드의 충전기가 있지만 점검 사항과 그 방법은 비슷하다. 하림전기에서 출시한 30A 기계식 배터리 충전기를 기준으로 알아보자.

설명드릴 기계식 배터리 충전기의 대표적인 문제 증상은 충전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충전이 되지 않을 때 점검이 필요한 사항들과 점검 방법에 대해 하나씩 순서대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김성관
크레텍 웰딩 A/S팀
배터리 충전기가 충전이 안 돼요 뭐가 문제인가요?
A-1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부분은 퓨즈입니다.

배터리 충전기의 후면 상단을 보시면 퓨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퓨즈를 돌려서 빼, 퓨즈 내부의 선을 확인합니다.

적정 용량보다 초과한 전류가 흐르는 경우 퓨즈의 내부선이 끊어지게 됩니다. 퓨즈 내부의 선 확인 시 끊어져 있는 경우에는 교체가 필요합니다.
A-2
다음으로 충전기 내부 배선의 접촉불량을 확인합니다.


충전기 몸체의 볼트를 제거하여 커버를 열고 내부의 각종 배선 터미널 혹은 결속단자를 확인합니다.

배선이나 결속단자의 결속부위를 하나씩 당겨 보아, 빠져 있거나 헐거워져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또 납땜 불량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A-3
다음으로 메인트랜스의 소손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 부분이 바로 메인트랜스입니다. 메인트랜스는 충전기 전원을 콘센트에 꽂았을 때 입력되는 220V의 전압을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출력 전압인 12V나 24V로 떨어뜨리는 기능을 하는 장치입니다.
육안으로 확인하였을 때 메인트랜스의 코일 부분에 변색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왼쪽 사진처럼 변색이 없는 경우에는 정상, 오른쪽 사진처럼 변색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소손된 것입니다. 심하게 변색되었거나 절연지가 탔을 경우 메인트랜스를 교체해야 합니다.

변색이 없는 코일

변색이 확인되는 코일
A-4
브릿지 다이오드를 확인합니다.

먼저 아날로그 테스터기의 설정을 저항×1에 설정한 후, 플러스 마이너스 리드선을 서로 접촉하여 저항값의 영점을 맞추고 B/D에 연결된 선을 다 뺀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B/D의 결속단 위치는 위 그림과 같습니다. B/D점검을 위해 아날로그 테스터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디지털 테스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서로 다른데, 여기서는 아날로그 테스터기를 사용해 점검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이 부분이 바로 브릿지 다이오드(B/D)입니다. B/D는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교환해 주는 부품입니다.

① 리드선(+)를 B/D(+)에 접촉하고 리드선(-)를 B/D교류입력단에 접촉하여 테스터기에 약 5~10Ω가 표시되면 정상입니다.

② 리드선(-)를 B/D(-)에 접촉, 리드선(+)를 B/D교류입력단에 접촉하여 테스터기에 약 5~10Ω가 표시되면 정상입니다.

③ 리드선(-)를 B/D(+)에 접촉, 리드선(+)를 B/D교류입력단에 접촉하여 ∞Ω가 표시되면 정상입니다.

④ 리드선(+)를 B/D(-)에 접촉, 리드선(-)를 B/D교류입력단에 접촉하여 ∞Ω가 표시되면 정상입니다.
앞의 항목 네 가지 항목 중 한 가지라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B/D파손이므로 교체가 필요합니다.

B/D교체시, 교류입력단에 연결하는 전선은 바뀌어도 상관없으나 직류입력단에는 플러스(+),
마이너스(-) 선을 유의하여 교체가 필요합니다.
A-5
셀렉터, 스위치 등을 확인합니다.

각종 셀렉터나 스위치 등의 부품에 연결된 전선이 빠져 있거나 헐렁하지 않은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혹은 통전테스트를 하여 확인이 필요합니다. 통전하는 경우 테스터기에 0Ω이 표시된다.
A-6
충전기 전면의 전류계를 확인합니다.

위 사진이 전류계 부분입니다.


전류게 뒤편의 터미널 결속부에 테스터기의 리드선을 접촉하여 통전테스트를 진행합니다. 통전시, 테스트기의 바늘이 0Ω을 가리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전이 확인될 시, 전류게 전면부에 자석을 가까이 갖다 대어 바늘이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움직이면 정상입니다.
A-7
출력집게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출력집게선의 고무커버를 밀어 올려 출력집게선에 단선이 없는지, 출력선과 집게의 결속상태(납땜)가 양호한지, 집게의 악력이 너무 약하지는 않은지 확인합니다.
A-8
배터리 결속부위를 확인합니다.


배터리의 결속부에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부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부식되어 있는 경우,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배터리 결속부에 집게를 물린 상태에서 좌우로 1~2회 정도 흔들어 결속을 진행합니다.
A-9
위의 8가지 점검 과정과 수리, 부품 교체가 모두 끝났다면 최중 출력 전압을 확인합니다.


배터리와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기의 전원을 꽂은 뒤 테스터기를 DC50V에 맞추고 충전기 출력단자에 리드선을 접촉하여 전압을 측정합니다. 이 때, 충전기에서 나오는 전압은 완벽한 직류(DC) 전압이 아니라 맥동파의 형태로 출력되므로 조금 낮은 수치의 전압이 표시됩니다.


① 충전기의 출력 전압을 12V로 설정한 경우 테스터기에 9~10V정도가 뜨면 정상입니다.


② 충전기의 출력 전압을 24V로 설정한 경우 테스터기에 18~20V 정도가 뜨면 정상.


전원을 끄고 출력집게선을 배터리에 연결 후, 충전을 시작하여 충전기의 전류계가 움직이는지 확인합니다. 전류계 바늘이 움직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늘이 조금씩 ‘0’으로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면 정상입니다.
Tip.
A/S팀에서 알려주는
충전기 사용 시 주의할 점
① 배터리 상태를 확인한다. 수명이 다 된 배터리에 충전기를 연결하는 경우 과부하로 인해
트랜스가 소손될 수 있다.
② 배터리의 용량을 확인한다. 15A급 충전기는 12V기준 80A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30A급 충전기는 12V 기준 100~150A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배터리가 감당할 수 있는 용량 이상의 과도한 용량을 사용하는 경우 과부하로 인해 트랜스가 소손될 수 있다.
③ 배터리와 충전기 연결 시 플러스(+) 마이너스(-)를 반대로 연결하면 역결선에 주의한다.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면 B/D가 파손되고 최악의 경우 트랜스도 소손될 수 있다.
④ 충전기가 켜진 상태에서 출력집게선을 쇼트(접촉)시키면 안 된다. 이 경우 B/D가 파손되므로
반드시 출력집게선을 배터리에 연결 후 전원을 투입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자.
도움말 _ 크레텍 웰딩 A/S팀 김성관 책임 / 정리·사진 _ 이대훈